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이며 동시에 천문학자였습니다 또한 지구 둘레 측정과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연구한 인물입니다 오늘은 에라토스테네스 생애와 업적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에라토스테네스 (Eratosthenes) 생애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는 고대 그리스의 키레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고대 그리스의 학자, 수학자, 지리학자로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첫 번째 대서사시였습니다
에라토스테네스 (Eratosthenes) 업적
지구 둘레의 정확한 계산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업적으로 유명합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에서 학문을 읽던 도중 나일강변에 위치한 수에네 마을에서 매년 6월 21일 정오가 되면 태양 빛이 우물 깊은 곳까지 비추어, 우물이 밝게 빛나는 현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즉 태양이 수에네(syene) 마을을 수직으로 비춘다는 것
그는 알렉산드리아(현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와 수에네 (Syene) 사이의 거리를 측정했습니다.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직교하는 수직선을 그렸고, 동시에 수에 네에서 태양이 수직선 위로 비치는 시간 즉, 해가 수직으로 내린 날인 절기 하지(태양이 직각으로 드는 날)에 각 도시 사이의 그늘이 만들어지는 각도를 측정한 후, 지구의 전체 둘레를 계산하기 위해 비례식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에라토스테네스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서 수에네 마을까지 5000 스타디아가 걸리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스타디아(고대 그리스시대의 길이와 단위) 또한 7.2도라는 각은 지구 중심에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수에네 마을을 바라보는 각과 같은 각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따라서
360 : 7.2 = 지구 둘레의 길이 : 5000 스타디아 360은 7.2의 50배
지구 둘레의 길이는 5000 스타디아의 50배인 250,000 스타디아입니다 스타디아를 킬로미터로 환산하면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약 46,250km로 추정했습니다.
이 값은 실제 지구의 둘레 값과 매우 근접한 추정이었으며,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둘레 측정 연구는 지구의 크기를 정확하게 계산하는데 기여했습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Eratosthenes' sieve)
에라토스테네스는 소수를 찾는 데 사용되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라고 불리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핵심 인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주어진 범위 내에서 모든 소수를 찾기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입니다 이 방법은 2부터 시작하여 배수들을 걸러내면서 소수를 찾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소수를 찾는 데 사용되며, 수학 연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관리"
에라토스테네스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첫 번째 대서사시였으며, 이 도서관은 고대 시대의 유명한 학문과 지식의 보고를 수집하고 보존하는 장소였습니다
또한 작업실을 운영하여 많은 학자들이 모여 연구 및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관제 및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그리고 에라토스테네스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저작물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이를 통해 그의 시대에서 일어났던 저서나 저작물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학자들이 이러한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지리학적 측정과 수학적 업적은 고대 그리스 학문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였으며, 그의 업적은 현대 지리학, 수학, 천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그의 업적은 그의 시대와 그 이후의 학자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이름은 학문의 역사에서 길이 남아있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세기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Edwin Hubble)의 생애와 업적, 저서 모음 (0) | 2023.10.13 |
---|---|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 겸 수학자 히파르코스(Hipparchus) 생애와 업적들 모음 (0) | 2023.10.12 |
윌리엄 허셜의 아들 19세기 영국 천문학자 존 허셜(John Herschel): 생애와 저서 업적 모음 (0) | 2023.10.11 |
18세기 영국 음악가였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 생애와 업적 및 저서 (0) | 2023.10.10 |
이탈리아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Galilei) : 생애, 업적, 저서 (0)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