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빅뱅 이론

by 매일 쓰는 독후감 일기 2023. 8. 29.
반응형

천문학을 좋아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빅뱅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은하

원시 우주 시작

 

빛과 어둠,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지 않았던 최초의 순간 138억년 전, 높은 온도와 밀도를 가진 매우 작은 점이 생겨났습니다

 

빅뱅

이 작은 점은 높은 밀도와 온도 때문에 얼마 버티지 못하고 대폭발하고 말았습니다 우리는 이걸 빅뱅이라고 부릅니다. 대폭발(빅뱅) 이후 작은 점의 조각들이 순식간에 거대한 공간으로 팽창하게 됩니다. 작은 점안에 있던 에너지 덩어리가 붕괴하면서 기본 입자들로 바뀌게 되고, 에너지 덩어리들이 기본 입자를 데우게 됩니다. 이후 입자와 반입자 물질이 생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입자 - 반입자 쌍소멸이라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이 현상은 입자와 반입자 물질이 서로 하나씩 만나면 사라지는 현상입니다

 

바라온 비대칭

이후 바라온 비대칭이라는 현상이 생겨납니다

물질 입자가 반물질 입자보다 10억 : 1의 비율로 더 많이 생겨난 현상 쉽게 말해 물질 입자가 반물질 입자보다 하나 더 생성된다는 얘기입니다

 

빅뱅 물질 생성

점점 더 물질 입자가 많아지게 되고, 적당한 온도가 되면 서로 결합해 양성자와 중성자를 만들어 냅니다. 그로 인해 양성자와 중성자가 합쳐지며 더 큰 입자를 만들어 내고 수소와 헬륨의 핵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빅뱅 후 38만년

우주의 온도가 3,000도까지 내려갑니다. 원자핵과 전자가 생성되어 서로 만나 하나가 됩니다. 그렇게 수많은 빛과 원자들이 생성되고, 그 원자들이 중력에 따라 한 점으로 모여들고, 안쪽으로 점점 빠르게 수축합니다

 

초신성 폭발 (최초의 별 폭발)

 

한 점으로 모인 원자들이 핵융합 반응을 시작하고 스스로 에너지를 뿜어내는 최초의 항성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핵융합이 계속되면 별들은 그 생명력을 다하고 핵융합을 끝내고 폭발하게 됩니다. 그 현상이 초신성 폭발입니다 별이 폭발하면서 입자 조각들이 다시 새로운 별을 만들어내는 재료가 됩니다 별과 은하, 우주가 이런 식으로 태어났습니다. 빅뱅 후 95억년이 지나면서 별이 폭발하면서 생긴 별의 먼지들과 입자들이 모여들기 시작하고 이것은 태양이 탄생하게 되고, 96억년에는 지구가 탄생하게 됩니다. 후, 우주는 계속해서 확장하면서 별, 행성, 은하, 은하계 등 다양한 천체가 형성되었습니다.

 

행성이 탄생하는 이유

행성은 주로 암석이나 가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들이 중력에 의해 모이면서 성운이라는 형성 물에 모이게 됩니다. 중력이 계속 작용하면서 성운(구름) 안에 물질이 모이게 되고, 모인 물질들이 충돌하고, 마찰과 열에 의해 녹아 합쳐지면서 더욱 커지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커지는 덩어리가 행성으로 탄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은하가 탄생하는 이유

은하는 수많은 별과 별이 깨지면서 생긴 먼지와 가스 등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천체 집합체입니다 우주의 초기에는 에너지와 물질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불균형이 있는 지역에서 중력이 작용하여 물질이 모이고, 모인 물질들이 더 큰 중력을 발생시키며 이런 식으로 계속 물질들이 모이면서 밀집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은하의 기초 형성과정입니다

 

이렇게 빅뱅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요 다음에는 더 흥미로운 주제를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