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

화성의 문제점 화성의 문제점과 화성에서 살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화성의 문제점 지구에 비해 중력이 부족하여 대기권을 붙잡고 있지 못합니다 화성은 지구에 비해서 대기압이 100분의 1밖에 되지 못합니다 또한 화성에는 대기권이 0에 수렴하기 때문에 우주 영화에서 보는 것처럼 강력한 돌풍은 불지 않습니다 애초에 공기가 거의 없는 옅은 밀도의 대기권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대기권을 강제로 채워주기 위해 화성 극지방에 얼어있는 '얼음'을 녹이거나 암석 속 '기체' 성분들을 증발시켜서 대기 중으로 보충하는 과정은 가능합니다 이 이론에 영감을 받은 일론 머스크는 화성 극지방에 핵폭탄을 터트려서 극지방에 있는 얼음들을 다 녹이면 빠르게 화성에 대기권을 채울 수 있다고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네이.. 2023. 9. 22.
과거 천문학과 점성술, 별자리 이론 과거 천문학자들은 천문학과 점성술로 어떤 일을 하였는지와 별자리 이론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거 천문학자와 점성술사 옛날에는 천문학자들이 점성술사라는 직업도 겸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유명한 천문학자 중 한 명인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는 수학에도 재능이 있었던 사람이었습니다. 또한 천문학자로도 유명했지만 용한 점성술사로도 유명했습니다. 옛날 과거에는 하늘의 별들 위치나 별자리를 가지고 하늘을 보는 것이 그 나라의 국운을 점치는 중요한 기능이었습니다. 그래서 과거 천문학자들은 어떤 나라와 왕의 행동이나 성격 등 점을 보고 나라의 운명을 점치면서 명예와 돈을 얻기 위하여 우주 연구를 하였던 것입니다. 또한 과거에는 점성술과 천문학의 경계가 모호했던 시절이었습니다. 하.. 2023. 9. 22.
초신성의 개요 초신성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초신성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초신성의 개요 예를 들어 태양보다 한 10배에서 50배 가까이 무거운 별이 진화를 다 끝내고 태울 수 있는 연료가 다 떨어졌을 때 갑자기 별이 붕괴하면서 터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런 경우를 타입 2 초신성이라고 부릅니다 2번째 방식은 별이 하나가 아니고 2개가 공존할 때 타입 1 초신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우주에 별 2개가 같이 공존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2개의 별 중 하나의 별이 먼저 진화를 마치고 갑자기 크기가 점점 왜소해지게 되는데 '백색왜성'이라고 부르는 별이 됩니다. 그리고 옆에 있던 별에 성분과 물질을 빼앗아 옵니다 다른 별이 가지고 있던 물질을 백색왜성이 흡수하다 지나치게 많은 물질을 .. 2023. 9. 20.
달의 자원 헬륨3 달의 자원 중 하나인 헬륨 3와 인류가 헬륨 3에 대한 미래 계획을 어떤 식으로 생각하고 사용할 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아폴로 이후 인류가 달에 가지 않은 이유 사람을 달에 보내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일입니다 또한 과학적으로 봤을 때 예전에는 달에 당장 쓸 수 있는 자원이 별로 없기 때문에 막대한 예산을 들여가며 달에 보내야 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1969년도에 아폴로 11호, 12호가 달에 도착하고, 아폴로 13호는 달에 가다 사고가 났기 때문에 지구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14호, 15호, 16호, 17호까지 달에 보내는 데 성공합니다. 총 7번의 시도 중 6번의 성공을 하게 됩니다. 17호까지 성공을 하면서 미국 국민들의 여론도 바뀌게 됩니다. 아폴로 1호가 만들어지.. 2023.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