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37 천문학자: 칼 세이건 개요와 프로젝트들 칼 세이건의 개요와 행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칼 세이건의 개요 칼 세이건(Carl Sagan)은 미국의 천문학자, 천체생물학자, 과학적인 사상가로서 20세기를 대표하는 과학적 이론과 우주 탐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세이건은 1934년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천문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합리주의와 과학적 방법론을 강조하며 종교와 과학 간의 대립을 주장하는 '철저한 종교 비판'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견해는 그의 저서인 "천체생물학"과 "역사를 바라보다" 등에서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세이건은 많은 사람들에게 과학과 우주에 대한 열정을 전파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였습니다. 특히 TV 프로그램 'Cosmos: A Personal Voyage'를 진행하면서 수많은 .. 2023. 10. 3. 요하네스 케플러의 법칙과 헬리오 센트릭 이론 요하네스 케플러는 17세기의 독일 출신 천문학자로, 요하네스 케플러의 법칙은 태양계 천체와 행성의 운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물리적 법칙입니다. 케플러는 이 법칙들을 개발하여 천문학적 데이터와 태양계 천체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요하네스 케플러의 법칙 케플러의 첫 번째 법칙 (타원 궤도 법칙): 모든 행성은 태양 주위를 원이 아닌 타원 궤도로 돈다는 것입니다. 타원의 중심에는 태양이 자리 잡고 있고, 타원의 한쪽 끝에는 궤도를 그리는 행성이 있습니다. 이 법칙은 당시 '모든 천체는 완벽한 원형 궤도를 갖는다'라는 가정에 대한 전환점이었습니다. 타원의 반지름을 장 반경이라고 하고, 짧은 반지름을 단 반경이라고 하는데, 타원의 형태는 장 반경과 단반경의 비율의 의해 결정됩니다 타원의 중심에서 가장 .. 2023. 10. 2.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하는 일 제임스 웹의 외계 행성 찾는 방법 그리고 제임스 웹이 앞으로 할 일과 목적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은 외계행성들과 별들이 탄생하고 죽어가는 현장이라든가 또는 아주 먼 원시은하들의 모습까지 하나하나 포착하고 있습니다 제임스 웹이 찍었던 사진 중에 "용골자리 성운"이라는 성운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어린 별들이 탄생하고 있는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용골자리 성운은 높은 밀도로 이루어져 있고, 가스 속에서 어린 별들이 탄생하고 있습니다 제임스 웹의 역할 중 하나는 생명체가 있을만한 외계행성을 찾는 것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제임스 웹이 새로운 '암석형 외계행성'을 발견하였습니다 'LHS 475 b'라고 하는 별은 태양보다 미지근한 온도를 가지고 있고 적색왜성이라는 별입니다 제.. 2023. 10. 1. 중성자별과 펄스 신호 중성자별의 자기장과, 펄스 신호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중상자별 자기장 1967년, Jocelyn Bell Burnell은 전파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던 중 아주 이상한 천체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별의 신호라고 보기에는 너무나 빠르게 시그널이 바뀌고 있었습니다. 1.3초 간격으로 0.04초 길이에 펄스 신호가 깜빡이고 있었고, 누군가 인공적으로 전파 펄스를 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예전 천문학자들은 이 신호를 보고 LGM(Little Green Man) 외계 문명에서 보내는 전파 신호로 오해하였습니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은 이것은 무거운 별이 죽고 남기는 시체 즉, 중성자별이란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거대했던 별이 순식간에 폭발과 함께 붕괴하면서 중성자별을 남기게 됩니다.. 2023. 9. 28.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