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37 초신성의 개요 초신성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초신성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초신성의 개요 예를 들어 태양보다 한 10배에서 50배 가까이 무거운 별이 진화를 다 끝내고 태울 수 있는 연료가 다 떨어졌을 때 갑자기 별이 붕괴하면서 터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런 경우를 타입 2 초신성이라고 부릅니다 2번째 방식은 별이 하나가 아니고 2개가 공존할 때 타입 1 초신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우주에 별 2개가 같이 공존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2개의 별 중 하나의 별이 먼저 진화를 마치고 갑자기 크기가 점점 왜소해지게 되는데 '백색왜성'이라고 부르는 별이 됩니다. 그리고 옆에 있던 별에 성분과 물질을 빼앗아 옵니다 다른 별이 가지고 있던 물질을 백색왜성이 흡수하다 지나치게 많은 물질을 .. 2023. 9. 20. 달의 자원 헬륨3 달의 자원 중 하나인 헬륨 3와 인류가 헬륨 3에 대한 미래 계획을 어떤 식으로 생각하고 사용할 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아폴로 이후 인류가 달에 가지 않은 이유 사람을 달에 보내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일입니다 또한 과학적으로 봤을 때 예전에는 달에 당장 쓸 수 있는 자원이 별로 없기 때문에 막대한 예산을 들여가며 달에 보내야 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1969년도에 아폴로 11호, 12호가 달에 도착하고, 아폴로 13호는 달에 가다 사고가 났기 때문에 지구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14호, 15호, 16호, 17호까지 달에 보내는 데 성공합니다. 총 7번의 시도 중 6번의 성공을 하게 됩니다. 17호까지 성공을 하면서 미국 국민들의 여론도 바뀌게 됩니다. 아폴로 1호가 만들어지.. 2023. 9. 18. 암흑물질의 역사2 저번 시간에는 암흑물질의 역사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렸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암흑물질의 역사와 특징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베라 루빈(Vera Rubin) 1970년 천문학자 베라 루빈(Vera Rubin)도 똑같이 안드로메다를 비롯한 다양한 은하들을 관측하게 됩니다 또한 은하 중심부터 은하 바깥까지 별들의 속도분포를 쭉 관측을 하게 됩니다 이것을 통해 대부분의 은하들 속에는 눈에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질량이 "평균 10배가 더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우리 우주를 채우고 있는 대부분의 질량은 우리가 눈에 보이는 (별, 행성, 가스구름 등) 일반적인 물질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Invisible matter가 우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정의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질량, Invisi.. 2023. 9. 16. 암흑물질의 역사 1 암흑물질 암흑물질은 말 그대로 빛을 흡수하지도 발하지도 않아서 빛을 통해 관측할 수 없는 미지의 질량, 물질이라고 합니다 빛으로 관측할 수 없는 암흑물질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암흑 물질의 역사 19세기말 윌리엄 톰슨 켈빈이라는 물리학자가 있었습니다 톰슨은 우리 은하수 속의 별들을 연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의 연구 방식에는 예를 들어 태양계 주변 별들이 은하계 전체 중력으로 인해 현재까지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그러면 별들이 얼마나 빠르게 돌고 있는지 속도만 잴 수 있다면 은하계의 전체 중력을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별들의 움직임을 관측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질량까지 계산을 해봅니다 하지만 관측 결과 톰슨의 예상보다 별들의 이동속도가 너무 빨랐습니다 이렇게 빠르.. 2023. 9. 15.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